전체 글1138 안되/안돼 구분법 궁금해요. '안되'와 '안돼'는 발음과 뉘앙스가 다르지만 혼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되'는 가능하지 않다, 허용되지 않는다는 뜻이고, '안돼'는 금지된다, 허용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일은 법에 의해 금지되어 있어서 이혼이 안돼요. 추운 날씨에 만두전골을 먹으니까 안돼요. 위에다가 더 느껴져요. 이 계약서는 이미 만료되어서 자리에서 바로 서명해도 안되요. 20살 이하는 선별적으로 백신 대상군에 해당하지 않아서 백신을 맞을 수가 안돼요. ‘되’는 무조건 어미가 붙어야 하기 때문에 ‘되’로 문장을 마치면 안 된다. 예) 그러면 안 돼 O / 그러면 안 되 X 구분하기 쉬운 방법이 있는데요. ‘되’ -> ‘하’로, ‘돼’ -> ‘해’로 바꾸어 대입해보면 된다. 그렇게 하면 안되 / 안돼 => 그렇.. 2023. 6. 4. 교차로 횡단보도 우회전 일시정지 총정리 교차로 우회전 방법을 정리해 봤습니다.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https://youtube.com/shorts/4_PCGYkfm4U?feature=share 2023. 6. 4. 제발~ 신청하세요! 청년도약계좌 제발~ 신청하세요! "청년도약계좌" 이 지원은 돈을 정부에서 주는겁니다. 먼저, 청년이란 누가 해당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일반적으로 만 34세 이하의 젊은 세대를 의미합니다. 청년들은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도전하는 것에 대한 열정과 도전 정신이 높으며, 그만큼 새로운 기회에 대한험과 기회 감지 능력이 뛰어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청년의 뜻과 열정이 높은 사람들은업이나 일자리 창출을 통해 미래를 선도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청년들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다양한 정책과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 '청년도약계좌'가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제한적인 자금력으로도 청년들의 창업과 일자리 창출을 가능하게 한 예금 상품 중 하나입니다. 이 예금 상품은 .. 2023. 6. 2. 전기료를 돌려준다고? '에너지 캐시백'을 아시나요? 에너지 캐시백(energy cashback)이란, 전기 사용에 대한 총 금액 중에서 일정 비율의 금액을 절약한 경우, 해당 절약 금액의 일부를 사용자에게 돌려주는 혜택을 말합니다. 이러한택을 받으려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제품을 설치하고 이에 따른 절약 금액을 책정하여 캐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전기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에너지 절약은 매우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에서는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그 외에도 캐시백 혜택을 통해 개인의 절약 의지를 유도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에너지 캐시백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전력 회사나 집합 주택 등에서 제공하는 캐시백 프로그램에 가입해야 합니다. 가입 후, 전기 시스템.. 2023. 6. 2. 이전 1 ··· 252 253 254 255 256 257 258 ··· 285 다음